반응형
이 포스팅은 아래의 강의를 참고한 개인 정리본이니 강의를 통해 공부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.
1. Transaction 사용방법
Mongoose에서 Transaction은 아래와 같은 구조로 사용할 수 있다.
아래 소스처럼 session을 이용해야한다.
const {startSession} = require('mongoose');
commentRouter.post('/', async(request, response) => {
const session = await startSession();
try{
await session.withTransaction(async()=>{
...
}
}catch(err){
console.log(err);
await session.abortTransaction(); // 트랜잭션 중지(원복)
return response.status(500).send({ error : err.message });
}finally{
await session.endSession(); // 트랜잭션 종료
}
* 예시 코드
const {Router} = require('express');
const commentRouter = Router({mergeParams:true}); // mergeParams:true -> 앞에서 받은 파라미터도 같이 사용할 수 있는 지에 대한 여부
const {Comment, Board, User} = require('../models');
const {isValidObjectId, startSession} = require('mongoose');
commentRouter.post('/', async(request, response) => {
const session = await startSession();
let comment;
try{
await session.withTransaction(async()=>{
const { boardId } = request.params;
const { content, userId } = request.body;
if(!isValidObjectId(boardId))
return response.status(400).send({error : "정확한 boardId 입력해주세요."});
if(!isValidObjectId(userId))
return response.status(400).send({error : "정확한 userId를 입력해주세요."});
if(typeof content != "string")
return response.status(400).send({error : "content를 입력해주세요."});
// 위에 주석처리한 부분과 같은 호출이지만 Promise.all을 이용해 내부에 있는 로직을 한번에 호출할 수 있다.
const [board, user] = await Promise.all([
Board.findById(boardId, {}, {session}),
User.findById(userId, {}, {session})
]);
if(board == null || user == null){
return response.status(400).send({error : "게시판 또는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습니다."});
}
if(!board.isUse){
return response.status(400).send({error : "해당 게시판이 삭제되었습니다."});
}
comment = new Comment({
content,
user,
name:`${user.name}`,
board:boardId
});
board.commentsCount++;
board.comments.push(comment);
// 게시판의 내장 댓글은 3개만 하며 최신순으로 함. 3개가 넘었을 때 신규 댓글이 작성되면 오래된 댓글은 삭제됨(comments에서 확인해야함)
if(board.commentsCount>3){
board.comments.shift();
}
await Promise.all([
comment.save({session}),
board.save() // board의 경우 위에서 session을 통해 불러왔기 때문에 session을 기입해줄 필요가 없다.
])
})
return response.send({comment});
} catch(err){
console.log(err);
await session.abortTransaction(); // 트랜잭션 중지(원복)
return response.status(500).send({ error : err.message });
}
finally{
await session.endSession(); // 트랜잭션 종료
}
})
2. Transaction 주의점
트랜잭션 정말 중요하고 필요할 땐 꼭 써야하지만, 필요없는 경우 가급적 자제하는 것이 좋음
몽고 디비에서는 내장 관계를 이용하면 트랜잭션을 반드시 사용할 필요는 없음.
-> 한 컬렉션에 있는 내부를 등록, 수정할 때 오류가 발생 시 모두 롤백되기 때문
그러므로 상황에 따라서 내장인 콜렉션들은 MongoDB함수인 $함수를 이용해서 하는 것도 좋다.
반응형
'DB > MongoD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MongoDB 기초부터 실무까지] 9. Index, Paging(skip, limit) (0) | 2022.08.22 |
---|---|
[MongoDB 기초부터 실무까지] 8. 콜렉션 안에 다른 콜렉션 한 번에 저장해보기 (0) | 2022.08.17 |
[MongoDB 기초부터 실무까지] 7. 임시 데이터 생성 및 axios 사용해보기 (0) | 2022.08.13 |
[MongoDB 기초부터 실무까지] 6. Board API 만들기 및 라우터 안에 라우터 파라미터 사용 방법 (0) | 2022.08.05 |
[MongoDB 기초부터 실무까지] 5. Node.js로 MongoDB 접근해보기 (0) | 2022.08.0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