BE/Spring
[스프링 입문 -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, 웹 MVC, DB 접근 기술] - 1일차
멍목
2022. 5. 29. 17:07
반응형
현재 재직중인 회사에서 그리고 개인적으로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에서 사용중인 프레임워크는 스프링 부트이다.
스프링으로 개발하는데 어려움은 없지만 과연 내가 잘 안다고 할 수 있을 까라는 의문이 들어 아래의 강의를 학습하고 블로그에 정리하는 식으로 공부를 진행하려고 한다.
강의 링크(무료): https://inf.run/jixn
1. 프로젝트 환경 요약
- IntelliJ
- Spring Boot
- Gradle
- Thymeleaf
- JPA
- HIBERNATE
- Tomcat
2. 프로젝트 세팅
https://start.spring.io/ 로 들어가서, 캡처 및 내용처럼 설정 후 Generate 클릭
Default Setting
- Project : Gradle Project
- Language : Java
- Java(JDK) : 11
- Spring Boot : 2.7.0
Project MetaData
- groupId : hello
- artifactId : hello-Spring
- Dependencies: Spring Web, Thymeleaf
3. welcome page
Spring Boot에서는 기본적으로resources/static/index.html 을 찾는다.
4. Spring Boot 템플릿엔진 기본 viewName 매핑
resources/templates/ + {viewName} + .html
5. Gradle Build 시, 기본 위치
프로젝트 경로/build/libs 안에 jar파일로 생성됨
- 서버 실행 시 : java -jar [jar파일이름]
- 추후에 서버에 배포할 때, jar파일만 보내서 실행하면 된다.
6. Template Engine?
html을 동적화한 것. ex)php, jsp
반응형